반응형
OTT는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.
그중에서 넷플릭스는 어른 아이 할 것 없이 한 번은 꼭 들어봤을 법한 이름입니다.
넷플릭스의 요금제는 어떻게 바뀌었는지 알아볼까요?
2022년 10월 넷플릭스는 요금제의 일부를 변경하였고 11월부터 적용됩니다.
넷플릭스 요금제 (기존)
구분 | 베이직 | 스탠다드 | 프리미엄 |
월 요금 | 9,500원 | 13,500원 | 17,000원 |
동시접속 | 1명 | 2명 | 4명 |
콘텐츠 저장 | 1대 | 2대 | 4대 |
HD 화질 | X | O | O |
UHD 화질 | X | X | O |
넷플릭스 요금제 (변경)
2022년 11월부터 이용 가능한 '광고형 베이직'이 추가되었습니다.
구분 | 광고형 베이직 | 베이직 | 스탠다드 | 프리미엄 |
월 요금 | 5,500원 | 9,500원 | 13,500원 | 17,000원 |
광고 | O | X | X | X |
동시접속 | 1명 | 1명 | 2명 | 4명 |
콘텐츠 저장 | 0대 | 1대 | 2대 | 4대 |
HD 화질 | O | O | O | O |
FHD 화질 | X | X | O | O |
UHD 화질 | X | X | X | O |
광고형 베이직 요금제가 추가되어 기존 베이직에서 4,000원이나 저렴해졌습니다.
1시간짜리 콘텐츠에 4~5분 분량의 광고가 도입되었습니다.
다만, 일부 영화 및 시리즈 이용이 불가하다는 점이 최대 단점입니다.
넷플릭스 관계자는 "일부 콘텐츠의 경우 라이선스가 제한돼 시청할 수 없다"라고 하였고
"현재 개선을 위해 노력 중"이라고 설명하여 추후 개선될 가능성이 보입니다.
기존 베이직 요금제는 2022년 11월부터 HD 화질로 이용이 가능해집니다.
넷플릭스가 광고 요금제를 도입하게 된 배경에는 구독자와 매출 감소가 있습니다.
지난 4월 넷플릭스는 1분기 실적 발표에서 유료 가입자 수가 지난 분기 대비
약 20만명 가량 감소했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.
2011년 이후 11년 만에 첫 감소세라고 하니,
광고를 통한 추가적인 매출실적을 얻으려는 모습입니다.
광고형 베이직 요금제를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이용할지는 미지수이지만
개인적으로 광고형 요금제는 이용할 계획은 없을 것 같네요..ㅎㅎ
반응형
'소소한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삼성 폴드/플립/노트/S시리즈 액정 수리비 ( '22년 10월 1일 적용 비용) (0) | 2022.10.28 |
---|---|
티스토리 썸네일 이렇게 만들기 쉬운거였어? (2) | 2022.10.28 |
갤럭시 Z플립4 스펙 이정도야? (0) | 2022.10.26 |
기금e든든 신혼부부전용 전세자금대출 (0) | 2022.10.26 |
가을철 몸에 좋은 과일 BEST 5 (0) | 2022.10.06 |
댓글